"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예능 프로그램에서
장도연씨가 했던 말입니다.
장난스럽게 한 말이지만
시대를 잘 반영한 표현입니다.
쉬지않고 변화하는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혹은
남들이 말하는 성공을 위해서는
끊임없이 달려야 합니다.
사실,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성공은 고사하고
먹고 사는것만으로도
바빠야만하는 시대이지 않나 싶습니다.
가면 갈수록 여유가 줄어드는 요즘
'번아웃 증후군'
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아마 요즘들어 많이 듣게 되는
익숙해진 표현이지않나 싶습니다.
그래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번아웃 증후군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아웃 증후군이란?
번아웃(Burn-Out)이란
'타버리다, 소진하다'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번아웃 증후군이란
활활 타오르다가
다타버리면 차가운 재가 되듯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극도의 피로감을 느끼며
무기력해지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1974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허버트 프로이덴버거가
처음 이 용어를 사용하였는데요.
그는 번아웃 증후군에 대해서
'직업 생활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피로의 상태'
라고 정의내렸다고 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
직장에서의 과도한 업무와
그로인한 만성적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의 정의로는
'성공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만성적 직장 스트레스'
라고 정의 내립니다.
질병으로 정의내려지지는 않았지만
직업 관련 현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
우울증과 비슷한 면이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번아웃 증후군을 겪는 사람이
동시에 우울증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심리적인 무기력증과 고통으로
수면장애를 겪기도 하고
심리적인 무기력과 허무함을 없애려다보니
과소비를 하다던지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는 등의
좋지않은 해결방법을 동원하기도 합니다.
무기력감을 견디지 못해
출근을 거부하거나 사직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충동적인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번아웃 증후군 극복방법
일로 인한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이므로
이 스트레스를 줄여줄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터놓고 이야기한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정말 좋은 방법은
마음속의 고민을 털어놓는것입니다.
내 속 이야기를 하는것 만으로도
묵은 체증이 씻겨 내려가는
홀가분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2.일과 사생활을 확실히 분리한다.
퇴근하고 집에가서도 일생각을 하면
번아웃 증후군에 걸리기 쉽습니다.
일때문에 정신적으로 힘든데
하루종일 그 생각만하고
집에 가서도 그 생각만하면
좋아질수가 없을겁니다.
그래서 일적인 생각은 딱
근무중일때에만 하고
퇴근하고 나서는
일상생활에만 몰두하는
그런 습관을 기르는 것이
번아웃 증후군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3.능동적인 여가활동을 즐긴다.
일 때문에 생기는
심리적 어려움이기 때문에
충분한 휴식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TV나 유튜브 시청과 같이
수동적인 휴식이 아닌
운동, 캠핑과 같은
능동적인 휴식을 해야
잘 극복이 된다고 합니다.
능동적인 활동을 하게되면
거기에 몰두하게 됩니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여가활동을 즐기기 때문에
번아웃 증후군을
더 잘 극복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번아웃 증후군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신의 일에 회의감을 느끼는 경우가
살면서 한번쯤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이면
일단 먹고 사는 문제 자체가 힘들다보니
삶의 목적이나 의미는 생각하지도 못한채
일에 몰두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내가 왜 이렇게 아등바등 살아야 하지?'
생각이 드는 순간부터
온갖 의문들이 들기 시작하면서
무기력함이 찾아오게 됩니다.
일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면
언젠가는 반드시 그 일때문에
무기력해지는 순간이 오게 될것 같습니다.
우리가 일을 하는 이유는
일하려고 일하는게 아니라
행복하게 살기위해서 일하는거죠.
일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우리 인생의 행복을 위한
한가지 수단일 뿐이라는
(물론 좀 중요한 수단이긴 합니다ㅎ)
사실을 기억한다면
우리가 일에 너무 얽매여서
번아웃 증후군으로 괴로워하지 않고
조금은 더 나은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드는 오늘입니다.
요즘같이 어려운 경제 환경 가운데서
그렇게 하는것이 쉬운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인생의 행복을 위해서
힘내시기 바라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천재들의 병? 일론 머스크도 가지고 있대요. (0) | 2021.09.21 |
---|---|
내 손가락에 한포진이? 한포진의 증상과 치료법은? (0) | 2021.09.18 |
이석증 증상 및 치료법! 빙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0) | 2021.09.13 |
기저질환 뜻이 무엇일까요? (0) | 2021.06.19 |
아나필락시스 쇼크란? (0) | 2021.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