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도 어느덧 1년이 훌쩍 지나고
이제는 백신 공급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백신 접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냥 기쁜 마음으로
백신 접종을 맞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로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입니다.
백신 접종 후 사망과 관련된 기사가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기사들을 매일 접하다 보면
'백신을 맞아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 기사들을 살펴보면서
자주 보이는 표현이 있었는데요.
바로
'아나필락시스'입니다.
얀센 아나필락시스
화이자 아나필락시스
이런 식으로
연관검색어도 자주 보입니다.
그럼, 아나필락시스는 무엇일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나필락시스의 정의는 이러합니다.
특정 물질에 대해 몸에서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물질을 극소량만 접촉하더라도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
'그럼 아나필락시스가 알레르기반응인가?'
'알레르기가 곧 아나필락시스인가?'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로 인한 많은 증상들
그 가운데 한가지입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들에는
아토피성 피부질환도 있고
비염 증상도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증상들 중에서
급성 쇼크 증상으로
심각한 경우에는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는 증상이
바로 아나필락시스입니다.
아나필락시스라는 단어가
특히 요즘 많이 보이는 이유는
바로 백신때문입니다.
백신이 특정 사람에게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와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인터넷상에서
이 단어가 많이 보였던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코로나 종식을 위해서는
언젠가는 백신을 맞아야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백신이
나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죠.
따라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왔을때의 증상
그리고 그 치료법을 미리 알고 있으면
혹시라도 있을 위험에
대비할 수 있겠습니다.
[증상]
아나필락시스는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일종의 쇼크 증상입니다.
따라서 보통 1시간 안으로
기침, 가슴통증, 손발저림
빈맥, 발진, 구토등의 증상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초기에 잡아주지 않으면
호흡곤란, 저혈압이 오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의식을 잃게 되고
뒤이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증상들이
짧은 시간안에 일어난다고 합니다.
[치료 방법]
아나필락시스는
즉각 치료하기만 하면
부작용없이 회복할 수 있지만,
타이밍을 놓치게 되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증상이 보이면
즉각적으로 치료해야합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치료제는
'에피네프린'입니다.
에피네프린 주사를 맞으면 되는데요.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닌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증상이 발현되면
자가 주사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증상이 없었던 사람들은
당연히 자가 주사를 놓지 못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보인다면
한시라도 빨리 병원을 가야합니다.
백신을 맞고
아나필락시스가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백신을 맞고나면
바로 가는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안정을 취하라고 합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1시간 이내에 보이는 쇼크이죠.
따라서 병원에서 일정시간 있으면서
증상을 확인해본 뒤에
이상이 없으면 퇴원하면 됩니다.
만약 이상 증상이 생기더라도
병원에 있기 때문에
에피네프린 주사를 맞으면
목숨의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아나필락시스의 의미와
증상 및 치료법까지 알아봤습니다.
이제, 앞으로 백신이 더 보급되고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종하게 될것입니다.
그 가운데서는 우리 각자도 포함될것입니다.
그리고 만에 하나
나에게 알레르기 증상인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 잘 알아둔다면
위험이 와도 잘 대비할 수 있겠습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천재들의 병? 일론 머스크도 가지고 있대요. (0) | 2021.09.21 |
---|---|
내 손가락에 한포진이? 한포진의 증상과 치료법은? (0) | 2021.09.18 |
이석증 증상 및 치료법! 빙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0) | 2021.09.13 |
기저질환 뜻이 무엇일까요? (0) | 2021.06.19 |
번아웃 증후군에 대해서 (0) | 2021.06.18 |
댓글